2018년 5월 22일 화요일

MySQL Error Code 1175 관련

Error Code: 1175. You are using safe update mode and you tried to update a table without a WHERE that uses a KEY column To disable safe mode, toggle the option in Preferences -> SQL Editor and reconnect.
update safe모드로 설정되있어서 업데이트시 키 컬럼을 사용하지 않으면 업데이트 할수 없다... 라는 것 같다



방법

SET SQL_SAFE_UPDATES =0;
라는 쿼리문을 입력한다.

or 

워크벤치의 Edit - Preferences 에서 빨간 원을 체크 해제 하면 된다.



2018년 5월 17일 목요일

mongodb 설치

예전에 설치했던 mongodb가 접속이 안되서 새로 설치하였다

환경변수를 등록하고

C:\data\db
이 경로에 폴더를 설치해줘야한다 


cmd로 mongod를 입력하고

이때 이 창은 그대로 두고 새 cmd창을 열어 mongo 입력하면 접속완료



참고
http://solarisailab.com/archives/1605

2018년 4월 21일 토요일

게시판 스크립트 방지 관련

포폴로 제출한 홈페이지를 잠깐 들어가봤는데 내가 설정하지 않은 alert창이 떠서 당황하였다.
인사담당자님께서 테스트하신 것같았는데 글 제목들은 공백이었고 내가 입력한적이 없는 alert창이 자꾸 발생하였다. 
어디서 자꾸 발생하나 개발자도구로 보니.....글 제목을 스크립트로 입력하신거였다...

<script>alert('Popup');</script>

전혀 생각하진 못한 문제였다...ㅠㅠㅠ

글 내용부분은 네이버 스마트에디터를 사용해서 스크립트가 방지되는 것같았다. 
글 제목엔 <script>alert('Popup');</script>을 써서 저장하면 해당게시판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알람이 발생한다!!! 


* XXS(Cross-site Scripting란?
SQL injection과 함께 웹 상에서 가장 기초적인 취약점 공격 방법의 일종으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공격하려는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넣는 기법을 말한다. 공격에 성공하면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는 삽입된 코드를 실행하게 되며, 보통 의도치 않은 행동을 수행시키거나 쿠키나 세션 토큰 등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한다.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이란 이름 답게,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 공격 방법이 단순하고 가장 기초적이지만, 많은 웹사이트들이 XSS에 대한 방어 조치를 해두지 않아 공격을 받는 경우가 많다. 여러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게시판 등에 코드를 삽입하는 경우도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메일과 같은 매체를 통해서도 전파된다. 

물론, HTML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Text-Only 게시판이나, BBCode를 이용하는 위키위키 등에서는 XSS가 발생할 일은 없다. 단, 나무위키의 경우 {{{#!html HTML}}} 을 이용해서 HTML 태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취약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나무위키 초반에는 스크립트 태그와 이벤트 속성도 막지 않았다. 물론, 이는 후에 대부분 수정되었다.

주로 CSRF를 하기 위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종종 CSRF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으나, XSS는 자바스크립트를 실행시키는 것이고, CSRF는 특정한 행동을 시키는 것이므로 다르다.




해결방법은 좀 더 찾아보고 적용해야할 듯...ㅠㅠ 


http://forest71.tistory.com/16 (게시판 스크립트 방지관련 글)

https://blog.naver.com/powerlee12/40051367646 (xss에 대해서)

https://namu.wiki/w/XSS

>>>>>>>>>>>>>>>>>>>>>>>>>>>>>>>>>>>>>>>>>>>>>>>>
lucy xss servlet filter를 적용 테스트 중 ...

2018년 3월 24일 토요일

modelandview란?

ModelAndView

org.springframework.web.servelt 패키지에 속해있는 클래스로 컨트롤러의 처리결과를 보여줄 뷰와 전달할 값을 저장할 용도로 쓰인다.
ModelAndView클래스를 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package org.springframework.web.servlet;

import java.util.Map;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Map;
import org.springframework.util.CollectionUtils;

public class ModelAndView {
    private Object view;
    private ModelMap model;
    private HttpStatus status;
    private boolean cleared = false;

    public ModelAndView() {
    }

    public ModelAndView(String viewName) {
        this.view = viewName;
    }

    public ModelAndView(View view) {
        this.view = view;
    }

    public ModelAndView(String viewName, Map<String, ?> model) {
        this.view = viewName;
        if (model != null) {
            this.getModelMap().addAllAttributes(model);
        }

    }

    public ModelAndView(View view, Map<String, ?> model) {
        this.view = view;
        if (model != null) {
            this.getModelMap().addAllAttributes(model);
        }

    }

    public ModelAndView(String viewName, HttpStatus status) {
        this.view = viewName;
        this.status = status;
    }

    public ModelAndView(String viewName, Map<String, ?> model, HttpStatus status) {
        this.view = viewName;
        if (model != null) {
            this.getModelMap().addAllAttributes(model);
        }

        this.status = status;
    }

    public ModelAndView(String viewName, String modelName, Object modelObject) {
        this.view = viewName;
        this.addObject(modelName, modelObject);
    }

    public ModelAndView(View view, String modelName, Object modelObject) {
        this.view = view;
        this.addObject(modelName, modelObject);
    }

    public void setViewName(String viewName) {
        this.view = viewName;
    }

    public String getViewName() {
        return this.view instanceof String ? (String)this.view : null;
    }

    public void setView(View view) {
        this.view = view;
    }

    public View getView() {
        return this.view instanceof View ? (View)this.view : null;
    }

    public boolean hasView() {
        return this.view != null;
    }

    public boolean isReference() {
        return this.view instanceof String;
    }

    protected Map<String, Object> getModelInternal() {
        return this.model;
    }

    public ModelMap getModelMap() {
        if (this.model == null) {
            this.model = new ModelMap();
        }

        return this.model;
    }

    public Map<String, Object> getModel() {
        return this.getModelMap();
    }

    public void setStatus(HttpStatus status) {
        this.status = status;
    }

    public HttpStatus getStatus() {
        return this.status;
    }

    public ModelAndView addObject(String attributeName, Object attributeValue) {
        this.getModelMap().addAttribute(attributeName, attributeValue);
        return this;
    }

    public ModelAndView addObject(Object attributeValue) {
        this.getModelMap().addAttribute(attributeValue);
        return this;
    }

    public ModelAndView addAllObjects(Map<String, ?> modelMap) {
        this.getModelMap().addAllAttributes(modelMap);
        return this;
    }

    public void clear() {
        this.view = null;
        this.model = null;
        this.cleared = true;
    }

    public boolean isEmpty() {
        return this.view == null && CollectionUtils.isEmpty(this.model);
    }

    public boolean wasCleared() {
        return this.cleared && this.isEmpty();
    }

    public String toString()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ModelAndView: ");
        if (this.isReference()) {
            sb.append("reference to view with name '").append(this.view).append("'");
        } else {
            sb.append("materialized View is [").append(this.view).append(']');
        }

        sb.append("; model is ").append(this.model);
        return sb.toString();
    }
}
다음과 같이 map에 데이터를 담거나 직접 값을 전달해 줄 수있다.
@RequestMapping(value="list")
  public ModelAndView list(@RequestParam(defaultValue="title") String searchOption,
    @RequestParam(defaultValue="") String keyword,
    @RequestParam(defaultValue="1") int curPage) throws Exception{

  //전달할 정보 가져오기
  int count = adminService.countboard(searchOption, keyword);
  BoardPage boardPage = new BoardPage(count, curPage);
  int start = boardPage.getPageBegin();
  int end = boardPage.getPageEnd();
  List<WebBoard> list = adminService.Viewlist(start, end, searchOption, keyword);

  //전달할 정보 map에 담기
  Map<String, Object> map = new HashMap<String, Object>();
  map.put("list", list);
  map.put("searchOption", searchOption);
  map.put("keyword", keyword);
  map.put("boardPage", boardPage);


  ModelAndView mav = new ModelAndView();

  //ModelAndView 객체에 전달할 정보(map)과 뷰 설정하기
  mav.addObject("map", map);
  //map에 넣지않고 직접 전달해도 된다.
  mav.addObject("count",count);
  mav.setViewName("/admin/adminmode");

  return mav;
  }
ModelAndView 외에도 다양하게 컨트롤러의 리턴타입을 정할 수 있음.
@ReqeustMapping("/list/")
  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int count = adminService.countboard();

    model.addAttribute("count", count);

    return "/admin/adminmode"
  }

2018년 3월 4일 일요일

restcontroller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어로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Resource를 대표하도록
설계된다는 개념이다.
이 말은 다른 말로 'URI와 HTTP메소드를 이용해 객체화된 서비스에 접근한다고 말하는 것'이 라고 말할 수도 있는데
이 편이 더 쉽게 이해할 수도 있다.

REST API는 외부에서 특정 URI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최근에 Open API에서 많이 사용되면서 REST 방식을 제공되는 외부 연결 URI를 REST API라고 하고,
REST 방식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것을 'Restful' 하다고 표현한다.






예제( 다른 방법도 있는것같음 ) 
http://doublesprogramming.tistory.com/105

+++++

2018년 2월 8일 목요일

git branch 관련

브랜치란?
독립적인 여러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

여러 명이서 동시에 작업을 할 때에 다른 사람의 작업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도록, 먼저 메인 브랜치에서 자신의 작업 전용 브랜치를 만듭니다. 그리고 각자 작업을 진행한 후, 작업이 끝난 사람은 메인 브랜치에 자신의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작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나로 모아 나가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할 경우 '작업 단위', 즉 브랜치로 그 작업의 기록을 중간 중간에 남기게 되므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원인이 되는 작업을 찾아내거나 그에 따른 대책을 세우기 쉬워집니다.


>>결국 개발자들이 서로에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 독립된 공간에서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 같음


master - 최종 배포용
develop - 개발용
feature - develop에서 새로운 기능을 만들때 쓰는 브랜치?

*************************************
출처
https://backlog.com/git-tutorial/kr/stepup/stepup1_1.html


브랜치 설명
https://mylko72.gitbooks.io/git/content/branch/branch_type.html




**********************************************
쓰는 흐름은
develop에서  feature를 따서 작은 기능을 개발 -> 작은 기능이 개발완료되면 develop으로 merge -> 반복 -> 모든 기능들이 완료되어 develop으로 합쳐지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master에 올려서 최종배포

인듯 하다.